본문 바로가기
경제&비즈니스

주거비가 부담되신다면 ​청년 월세 지원 정책 알아보세요

by 소다스토리 2025. 4. 12.
반응형

청년 월세 지원 정책은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시행하는 제도입니다.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정책을 중심으로 살펴봤습니다. 관심있는 MZ 여러분 자주 들러서 정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청년지원

🏠 청년 월세 지원 정책이란?

청년 월세 지원은 일정 소득 이하의 무주택 청년에게 월세 일부를 보조하여 주거 안정을 돕는 제도입니다. 지원 금액과 기간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며, 보통 월 최대 20만 원까지 12개월 또는 24개월 동안 지원됩니다. 해마다 정책 내용이 달라지지만 미리 제도를 알아두시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1️⃣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 지원 대상: 서울시에 현재 주민등록이 돼 있는 만 19~39살 무주택 청년 1인 가구

📌 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2024년 기준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119,657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 (보증금 환산액 포함 월세 총액 96만 원 이하)

  ✔️지원 내용: 월 최대 20만 원씩 12개월 지원

📌 신청 기간: 해마다 일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미리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신청 방법: 서울주거포털(housing.seoul.go.kr)에서 온라인 신청

📌 문의처: 서울주거포털 1:1 온라인 상담창구, 120다산콜센터, 서울주택도시공사 청년월세지원센터(1833-2030)


2️⃣ 경기도 청년 월세 지원

  ✔️지원 대상: 경기도 내 만 19~34세 무주택 청년으로 부모와 별도 거주하는 1인 가구

  ✔️청년 독립가구: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1인 기준 월 약 1,435천 원 이하)

  ✔️원가구(부모 등):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3인 기준 월 약 5,025천 원 이하)

 

📌 주거 요건: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 월세 60만 원 이하

📌 지원 내용: 월 최대 20만 원씩 최대 24개월 지원

📌 신청 기간: 해마다 일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미리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신청 방법: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 또는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 문의: 경기도 콜센터 031-120

💡 신청 시 유의사항

  ✔️중복 수혜 제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기존 월세 지원 수혜자 등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신청 서류: 임대차계약서, 주민등록등본, 소득 증빙서류 등 필요

  ✔️신청 결과: 심사 후 선정 결과 발표 및 지원금 지급까지 1~2개월 소요될 수 있습니다.


청년 월세 지원 정책은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어 청년들의 자립을 돕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각 지자체의 공식 홈페이지나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마다 지원 내용과 기간이 다른 경우가 많아 미리 정보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