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슨 점수(Gleason score)는 전립선암 악성도(aggressiveness)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병리학적 지표입니다. 전립선 조직에서 암세포가 얼마나 정상 세포와 다른지를 기준으로 점수를 매기며 치료 방침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바이든 전 대통령 암 확진 기사
바이든 전 대통령은 개인 대변인을 통해 전립선암 진단 소식을 전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 측은 암세포가 뼈까지 전이됐다고 밝히며 "본인과 가족들이 치료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전립선암은 악성도 1~10(숫자가 높을수록 고위험)의 '글리슨 점수'로 나타내는데, 바이든은 9점(등급 그룹 5)을 받았다. 이는 매우 공격적인 암을 의미한다. 특히 노년기 남성에게 많이 발견되는데, 초기에는 전립선에 국한돼 심각한 해를 입히지 않을 수 있지만, 일부 유형의 전립선암은 공격적이며 뼈를 포함한 신체 다른 부위로 빠르게 확산할 수도 있다. <출처: 한국경제>
✅ 글리슨 점수 구성
암 조직 내에서 가장 널리 퍼진 세포 패턴(1~5점)과 그 다음으로 두 번째로 흔한 패턴(1~5점)을 각각 평가해 두 점수를 합산하여 2~10점 사이의 총점을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가장 흔한 패턴이 3점, 두 번째로 흔한 패턴이 4점이면 → Gleason score는 3 + 4 = 7점
📊 점수 해석
🎈6점 이하_낮은 등급: 비교적 천천히 자라는 암, 예후가 좋은 편
🎈7점 중간_등급: 3+4면 예후가 나은 편, 4+3이면 조금 더 공격적
🎈8~10점_높은 등급: 빠르게 자라며 다른 부위로 퍼질 가능성 높음(현재 바이든 전 대통령 상태)
⚠️ Gleason 점수의 중요성
🎁치료 결정에 큰 역할: 예: 점수가 낮으면 적극적 치료 대신 **관찰(감시)**을 택할 수 있음
🎁예후 예측에 매우 중요: 고점수일수록 수술, 방사선, 호르몬 치료 등의 적극적 치료 필요
🕹️ 도널드 글리슨(Dr. Donald F. Gleason)은 누구?
글리슨 박사는 Gleason 점수 체계를 개발한 미국의 저명한 병리학자입니다. 이 점수 체계는 오늘날에도 전립선암 진단과 치료에 전 세계적으로 표준처럼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의학적 업적입니다.
👨⚕️ Donald F. Gleason 박사에 대하여
✔ 출생: 1920년 미국 / 사망: 2008년
✔ 전문 분야: 병리학, 특히 전립선암 조직학
✔ 소속 기관: 미국 미네소타주에 위치한 Minneapolis Veterans Affairs Medical Center
🧬 Gleason 점수 체계 개발
✔ 1966년 미국 보훈병원에서 수천 명의 전립선암 환자 데이터를 분석
✔ 암세포의 조직학적 패턴에 따라 예후가 달라지는 현상을 발견해 이를 바탕으로 Gleason grading system 개발
✔ 당시로서는 획기적이었던 점: 단순하고 반복 가능한 기준-> 이 점수는 오늘날까지도 전 세계 병리학자들이 채택하고 있음
🏆 의학계 공로
✔ 전립선암 진단 체계의 정확도와 예측력 향상에 크게 기여
✔ 많은 의사와 연구자들은 그를 전립선암 병리 진단의 혁신가로 평가한답니다.
'최신 시사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GA: 미국판 차세대(신생아) 미래 투자 계좌 (4) | 2025.05.25 |
---|---|
하이브리드 본딩(Hybrid Bonding) (7) | 2025.05.24 |
IMEI, 단말기고유식별번호 (0) | 2025.05.20 |
미국 경기선행지수 (2) | 2025.05.20 |
글로비시 모멘트(GLOBISH MOMENT) (3)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