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벌써 ❺회째입니다. 이젠 시니어들이 처한 경제적 어려움은 다 아실 것이고. 앞으로는 실행 가능한 전략 중심으로 알아봅니다. 위기는 이제 시작이니 ‘살아남는 방법’을 배워야 하겠지요.
2025년 다발성 경제 위기는 아직 시작일 뿐입니다. 소득 감소, 물가 상승, 자산 하락, 고립감 등. 이 모든 위협이 시니어에게는 더 빠르고, 더 무겁게 다가옵니다. 하지만 방법은 있습니다. 오늘부터, 아주 작게라도 바꾸기 시작하면 노후는 지킬 수 있습니다. 힘 내시지요!
1️⃣ 소득: 연금 최적화 & 일자리 연결
✅ 할 일 리스트
✔기초연금 신청 여부 확인 (소득 인정액 월 202만 원 이하 단독 가구, 2025년 기준 확대 예정)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확인 → 국민연금공단 앱 또는 1355 콜센터
✅ 일자리 정보 찾기
✔노인일자리포털,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사회공헌 활동 지원사업 등 활용
✔실버창업 아이템 탐색
✔‘1인 콘텐츠 제작’, ‘중고 거래’, ‘디지털 재능기부’도 새로운 기회
2️⃣ 소비: 현명하게 줄이고 똑똑하게 쓰기
✅ 실천 팁
✔ 지역화폐·제로페이로 물가 방어
✔ 통신비·전기요금 감면제도 활용
✔ 공공앱 할인 (행복카드, 복지로, 나라사랑 앱 등)
✔ 공동구매·커뮤니티 나눔 소비 (동네 밴드, 카카오톡 단톡 활용)
3️⃣ 자산: ‘지키는 전략’이 우선
✅ 핵심 원칙
✔ 고위험 투자 금지! 👉 지금은 수익보다 현금흐름과 안정성 우선
✔ 주택연금 가입 고려
✔ 55살 이상, 공시가 12억 원 이하 주택 소유 시 가능
✔ 금·우량 채권·예금 등 저위험 분산
✔ 금융교육 참여: 디지털 금융 이해력 강화 → 보이스피싱 예방에도 효과
4️⃣ 건강과 심리: 보이지 않는 리스크 먼저 관리
✅ 마음과 몸의 방패
✔ 건강 바우처: 지자체 건강검진, 치매 조기 진단 프로그램 이용
✔ 심리 상담 연결망 구축 → ‘마음건강지원사업’, ‘노인복지관 심리상담’ 등 무료 지원
✔ 지역 커뮤니티 참여: 고립감 해소 → 정보 교류 효과도 큼
✔ 하루 20분 산책, 대화 10분 실천하기
5️⃣ 정보력: 디지털 정보 격차를 좁히자
✅ 정보 격차 해소법
✔ 스마트폰 교육 신청: 전국 주민센터·도서관에서 무료 교육 진행
✔ 고령자 전용 포털 즐겨찾기 등록
✔ 자녀와 연결 유지: 단톡방·영상통화 등으로 상시 소통 → 고립감·사기 예방
🔚 마무리
시니어 여러분! 혼자만의 싸움이 아닙니다. 노후는 이기기 위한 경쟁이 아니라 지키기 위한 연대입니다. 경제 위기 속에서도 정보를 챙기고, 전략을 세우고, 한 걸음씩 움직이면 노후의 안정은 충분히 지킬 수 있습니다. 나라와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와 혜택은 상시 챙기시는게 기본입니다. 그런데, 더 중요한 것은 건강이죠. 그래서 지자체 건강검진과 심리 건강 상담도 주기적으로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력에 맞는 운동은 물론 기본입니다. 인적 네트워크도 꾸준히 유지하시면서 남은 인생 잘 설계하시면 누구보다 행복한 시니어 라이프가 시작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위 내용은 프린트(인쇄) 해 놓고 주기적으로 체크하시지요~
'MZ & 시니어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니어 경제 전략 ❼] 미래 자산 설계와 10년 로드맵 (8) | 2025.06.11 |
---|---|
[시니어 경제 전략 ❻] 정부 차원 시니어를 위한 전략_복지, 연금, 일자리 제도 등 (4) | 2025.06.10 |
[시니어 경제 전략 ❹] IMF와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배운다! (4) | 2025.06.06 |
[시니어 경제 전략 ❸] 숫자에 가려진 한국 시니어의 삶 (5) | 2025.06.05 |
[시니어 경제 전략 ❷] 한국 경제, 두 개 파도에 휘청...시니어 직면 3가지 위험 (3) | 2025.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