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 뜨는 AI와 관련한 주식 투자를 고려할 때 흔히 AI 3대 인프라 부족 문제가 이슈가 되는데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모델 훈련용 반도체 (AI 칩) 부족
- AI 모델을 훈련하고 또 실행하는 데 필요한 GPU, TPU 같은 고성능 반도체가 충분하지 않아 각국이 고심하고 있습니다.
- 엔비디아, AMD, 인텔, TSMC 같은 반도체 기업들의 공급량이 AI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 공급망 문제 및 삼성의 강점이랄 수 있는 반도체 생산 시설(파운드리)의 한계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2. 데이터센터 인프라 부족 (클라우드 컴퓨팅 등)
- AI 모델을 운영할 대규모 데이터센터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 클라우드 기업(아마존 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구글 클라우드 등)의 데이터센터 증설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 냉각기술 과 서버 인프라 기업(에퀴닉스, 디지털 리얼티, 슈나이더 일렉트릭 등) 결국 주목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3.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부족 문제
- AI 모델 훈련과 실행에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데 이에 대응할 만한 전력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 따라서 데이터센터 운영을 위한 친환경 에너지(태양광, 원자력 등) 확대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 전력 인프라 관련 기업: 엔비디아, 테슬라(배터리/에너지),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슈나이더 일렉트릭 등.
👍 결론
AI 3대 인프라(반도체, 전력, 데이터센터)와 관련있는 한국과 미국 기업 각각 3개 정도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한국
- 삼성전자
- AI 반도체(고대역폭 메모리 HBM, ASIC, NPU 등) 개발
- GPU 및 AI 서버용 메모리 반도체(DDR5, HBM3) 공급
-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 확장 중
- SK하이닉스
- 엔비디아(NVIDIA)와 협력하여 HBM3 AI 반도체 공급
- D램, 낸드플래시 등 AI 서버용 메모리 반도체 시장 점유율 증가
- 한국전력 자회사
- 한국전력 계열사로 발전소 및 전력설비 유지보수 담당
- 데이터센터 및 AI 서버 운영에 필요한 전력 공급 관련 핵심 기업
✅ 미국
- 엔비디아 (NVDA) - 반도체
- AI 칩(GPU) 시장의 절대강자, AI 모델 학습 및 실행 필수
- H100, B100, Blackwell 등 차세대 AI 반도체 개발
- 넥스트에라 에너지
- 데이터센터 및 AI 서버 전력 공급 확대
- 미국 최대 재생에너지 기업(태양광, 풍력 발전)
- 에퀴닉스
- 글로벌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 AI 클라우드 수요 증가로 성장
- AWS,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등 주요 클라우드 기업과 협력
🍧투자 관점🍧
장기적으로 AI 산업이 성장하려면 위에 설명한 3대 인프라는 필수적입니다. 특히 AI 를 운용하는 기업 자체보다 오히려 그 기반이 되는 반도체, 전력, 데이터센터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란 점 잊지마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경제&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강 조망이 가능한 아파트는 어디? (0) | 2025.02.27 |
---|---|
안정적이고 합리적인 온라인 부업 BEST 5 PICK! (10) | 2025.02.25 |
소득세 물가연동제가 실시될 경우 직장인들은 손해일까요? 이익일까요? (2) | 2025.02.24 |
보험계약대출의 장점(신용 무관)과 단점(이자 부담) (2) | 2025.02.24 |
2025년 金 투자 전망: 비트코인 투자보다 과연 나은 선택일까?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