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슈

이란 의회, 호르무즈 해협 봉쇄 의결

by 소다머니 2025. 6. 23.
반응형

미국의 어마무시한 폭격으로 결국 봉쇄 결정을 내릴것으로 보이지만, 통상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Strait of Hormuz)을 봉쇄하거나 봉쇄 위협을 한다는 것은 세계 에너지 시장과 국제 안보에 매우 심각한 파장을 불러오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호르무즈

🔴 세계 원유 수송의 핵심 요충지

호르무즈 해협은 중동 산유국(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UAE 등)에서 생산된 원유가 세계로 수출되기 위해 지나가는 길목입니다. 하루 약 2천만~2천3백만 배럴의 원유가 이 해협을 통해 수송됩니다. 이는 전 세계 해상 원유 수송량의 약 30%, 전체 소비량의 약 20%에 해당합니다. 특히 아시아 국가들(한국, 일본, 중국)은 중동 원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직접적인 타격을 입습니다. 하루 약 2,000만~2,300만 배럴의 원유가 이곳을 통과함 → 세계 하루 원유 소비량의 약 20% → 세계 해상 원유 수송량의 약 30%

🔴 국제 유가 폭등 가능성

해협이 부분적으로라도 봉쇄되면 원유 공급 차질 우려로 유가 급등 → 세계 인플레이션 압력 가중
2011~2012년 이란이 봉쇄 위협 시,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 이상 급등
2024~2025년 현재도 중동 긴장 고조 시 WTI와 브렌트유 가격이 급등 조짐

🔴 군사 충돌과 안보 위기

호르무즈 해협은 이란과 미군(및 서방 동맹군)의 해군력이 충돌 가능한 군사적 긴장 지대입니다. 이란이 해협 봉쇄를 시도하면 미국과의 직접 충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주한미군을 포함한 미국의 동맹국에도 안보적 파장이 확대될 수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이 해협을 두고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은 중동 전역의 전쟁으로 확산 가능성도 있습니다.
1️⃣이란: 작은 보트, 기뢰, 미사일 등으로 해협을 위협할 수 있음
2️⃣미국: 제5함대를 바레인에 두고, 해협을 통해 자국 및 동맹국 안보를 보장함

🔴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석유 한방울 나지않는 대한민국은 중동 원유 의존도 약 60~70%로 매우 높음
유가 상승 → 수입 물가 상승 → 무역수지 악화 → 원화 약세 → 국내 물가 상승
제조업, 항공업, 운송업, 정유업 등에도 직격탄
주식시장 하락 압력, 특히 정유, 항공, 물류 관련주 영향 큼


🟡 결론

결정이 유력시 되는  '호르무즈 봉쇄'는 단순한 군사적 제스처를 넘어 세계 경제와 에너지 안보 전체를 흔드는 카드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전략적이고 중요한 해상 통로 중 하나로, 그 가치는 경제, 에너지, 군사, 지정학적 측면 모두에서 매우 막대한 의미를 가집니다. 정치 경제적으로 단단히 준비해야 할 시점입니다. 필요하다면 자유 진영, 특히 군사적으로는 NATO와 경제적으로는 중동 우방국과도 긴밀한 협력이 절실한 상황으로 보입니다. 안미경중이니 안중경미니 안미경미니 안중경중이니 이런 탁상공론은 이젠 한가로운 이야기입니다. 경제는 밥 그릇 싸움이지만, 안보는 한반도에서 나라가 사라지는 결과까지 가능하다는 사실을 현명한 단군의 자손들은 다 아시는 이야기이죠?

반응형